프랑스 실존주의 철학자 'Jean Paul Sartre'.  

 

 

 

 

프랑스 실존주의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의 모습이다. 


철학자이면서 작가였던 그는 인간 실존의 문제에 대해 깊게 고민했던 인물인데, 


그가 남긴 명제 중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실존이 본질에 선행한다."이다.  

 

 


학교라는 공간은 학생에게 우수한 성적을 요구한다. 


그리고 학생은 그 공간 속에서 공부를 잘 하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 


물론 이때 말하는 공부란 학교에서 가르치는 정규 교과 과정에 대한 공부다. 


이처럼 학생이란 존재는 학교의 교과 과정을 잘 익히고 


그 능력을 발휘해야 하는 존재로 규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존재가 규정되어 있는 것이다. 


"학생"이란 존재는 "공부를 하고 좋은 성적을 보여주어야 하는 존재"라고 규정이 되어 있다는 

것. 이 규정을 어긴 존재는 문제가 된다. 그래서 처벌을 받는 것이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인간은 자기에게 주어진 삶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고 선택을 하는 자유로운 존재가 아니던가? 


그런데 그런 고민과 선택의 시간도 주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삶의 방향을 규정한다는 것. 


이것은 일종의 폭력이 아닐까? 


애초에 학교 공부에 흥미가 없는 아이도 있을 수 있고, 


공부가 적성이 아닌 아이도 있을 수 있다. 


또 공부라는 것이 학교의 교과 과정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학교에서 공부를 못 한다고 해서 


'공부'라고 하는 것 자체를 못 하는 사람으로 간주할 수도 없는 것이다.  

 

프랑스의 실존주의자 장 폴 사르트르는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간단히 말해 인간은 스스로 그의 본질을 창조해야 한다. 그것은 그 자신을 세계에 던지고 그 속에서 시달리며 몸부림치고 그리하여 서서히 그 자신을 정의해 나가는 것이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또 어떤 기관에 들어가면서부터 그 존재의 본질이 정해진 것이 아니다. 


인간은 먼저 우연한 계기로 태어나고 살아가게 될 뿐이다. 즉 실존을 하게 된다는 얘기다. 


그 존재에게 본질이라는 것은 살아가면서 스스로 창조해야 할 일종의 과제이다. 


내가 중학교 때 만난 한자 전문가 친구는 


그 자신에게 있어 '한자'라는 것 자체가 흥미롭고 좋았던 것이다. 


그래서 그것에 매진했고 그런 결과로 우수한 실력을 가지게 된 것이다.


이것은 그 친구가 자신의 삶 속에서 스스로 창조한 결과이며, 


그 결과로 '한자를 잘 하는 존재'라는 정의를 내리게 된 것이다. 


이 정의가 학교에서 추구하는 것과 충돌이 났고 그래서 체벌이 가해졌다. 


그렇다면 학교에서 말하는 학생들의 본질, 즉 그들 존재의 규정은 옳은 것인가? 


과연 인간이라는 존재가 서로 다르며 다양한데, 


그런 획일적인 규정의 기준으로 본질화 하는 것이 온당한 것인가?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우연을 겪는다. 


내가 선택한 결과로 여기에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나도 모르게 우연히 여기 태어났다. 


여자로 태어날 것을 스스로 결정하지도 않았고, 남자가 될 것이라고 자체 판단하지도 않았다. 


태어나고 보니 여기이고 남자이며 여자인 것이다. 


그리고 우연히도 이 시대에 속한 것이다. 


이 모든 것들은 우연으로 주어진다. 


그 세계 속에서 인간은 자신의 본질을 스스로 만들 자유를 가지며, 


그 자유로움 속에서 본질을 만들어 가면 된다. 


이를 돕는 교육 기관이 다양하게 있으면 되는 것이지 


획일화 된 기준을 강요하는 폭력이 존재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사르트르가 말한 "실존이 본질에 선행한다."는 인간의 삶이 본질보다 앞서 있다는 얘기다. 

나라는 존재의 본질을 가지기 위해 우리가 겪어야 하는 혼란과 방황은 

그 자체로 아름답고 필요한 것이지 이를 애초부터 겪지 못하게 하려는 시도는 잘못이다. 

개인의 본질은 국가의 교육 기관이 만들어서 넣어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설정

트랙백

댓글



나는 일개 소시민으로써 나꼼수와 그 멤버들을 지지했다


주진우기자가 물어온 사실을 '팩트에 기반한' 소설(이라고 쓰고 예언이라 읽는다)로 쓰고 

그에 대해서 정치에 관해선 x도 모르는 사람까지를 위해서 

그 소설에 대해서 알기쉽게 해설해주는 정봉주와, 

팟캐스트를 들을때 더욱 맛깔나게 들으수 있게끔 편집해줬던 목아돼가 있어서 

이명박 정권 5년간을, 나를 깨어있는 지식인에는 못미치지만 

육식인에 가까운 상태로 보낼수 있게 해준 점에 대해서 감사함을 느낀다

주진우와 김어준에 대한 판결이 무죄로 남에 따라, 

그들에게 나꼼수 시즌 2를 기대해보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서글픈점이 언론이 언론으로써 제 기능을 하지 못하기때문에

 일개 개인과 개인이 모인 나꼼수팀이 대안 언론으로써의 기능을 하게 된점과 

그들에게 가해지는 고통과 시련의 시간들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위해서 해줄수 있는 일이 없다는게

(특히 정봉주가 감옥에 가 1년동안 고생하고 피선거권 10년 박탈등의 정치인으로써의 생명이 거의 끝나다시피 했다) 

무엇보다도 그들에게 나꼼수시즌 2를 기대하는것만큼이나 미안한 마음이 들게한다

박근혜정권이

(국정원과 국방부와 선관위의 부당한 선거 개입과 댓글공작으로 당선된 대통령이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는 국가의 대통령이라고 할수 있다면)

 끝나기 전에, 그들이 나꼼수를 다시 시작하기 전에, 

국민들이 그들의 어깨에 짊어진 짐을 나눠 메고 힘을 합쳐서 이 사람들을 지키고 

나아가 젊은이들이 떳떳하고 당당하게 정의를 말할수있는 그런 사회를 구축할수 있게끔 만들어야 한다

김어준총수, 주진우기자, 정봉주 전 의원, 김용민 미래교수님

여러분들 다들 고생 많으셨습니다

당신들이 하던 말 그대로

쫄지마 씨바



p.s 판사가 김환수 판사라네. 이뻐해주려했는데 알고보니 꼴통이었어

'느낀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것이 바뀐다.  (0) 2013.10.16
몇가지 느낌의 글들.  (0) 2013.10.13

설정

트랙백

댓글



재즈힙합 중에서 제일 좋아하는 뮤지션인 리플러스의 두 곡을 믹스한 영상이다.

듣고 있으면 뭐라해야할까. 마음속의 구멍이 정말 구멍이 되는 느낌.

시원한 가을바람이 내 마음속 뻥 뚫린 곳을 훝고 지나가서

약간 시리기도 한데, 가슴은 뛰는.. 그런 비트와 멜로디. :)

완전히 깜깜해지기전에, 그러니까 저녁과 밤의 사이

창문을 열어놓고 군청색 하늘과 불어오는 가을 바람, 시원한 음료수 한잔과 함께 듣고 싶은 음악이다.

예전에 살던 내 방에서 내려다보이는 야경과 함께 해도 좋을텐데..

반짝반짝거리는 주황색 불빛들, 빠르게 달리는 자동차, 그리고 졸졸 흐르는 예쁜 개울 :)



멜로우톤 앨범(작년 가을쯤 버전) 듣다가 발견한 주옥같은 샘 오크의 곡.

나에게 속삭이는 것 같다. 그 부드러운 목소리가.

적당히 메마른 비트와 대비되는 촉촉한 멜로디.

사랑을 노래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그런 가을같은 노래,

가을 밤 나무 밑을 산책하며 사색에 잠길 때, 듣기 딱인 노래.

꽤 애절하게 들리는 곡이지만, 가사를 찬찬히 들어보면 찬란한 사랑에 대한 가사다.

반전 매력 ㅎㅎ


'들은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반자카파-just the two of us, just a feeling  (0) 2013.10.10

설정

트랙백

댓글